기업소개
VnP-16 펩타이드는 치주인대세포의 이동과 골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고, 잇몸 섬유모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T 림프구에서 RANKL과 인터루킨-17A의 생성을 감소시켜 숙주 면역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파골세포의 분화와 골흡수를 억제합니다.
– 인체 단백질 비트로넥틴에서 발굴한 저분자량의 12-mer 펩타이드로, 인체에 투여 시 면역거부반응을 보이지 않음.
– 사람 치은(잇몸) 섬유모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억제시키고, 사람 T 세포 에서 면역반응을 제어시킴.
– 치주염모델에서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고, 동시에 치조골 흡수를 억제시켜 치주염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신규 약물임.
*현재 치주질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Scaling, Root planning, Curettage 등): 염증을 제거하거나 치조골 소실을 지연시키는 정도이며, 소실된 치조골의 재생을 유도할 수 없음.
치은 섬유모세포에서 염증반응 및 T 세포에서 면역반응을 억제시키며, 골모세포와 파골세포의 분화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고, 동시에 치조골 흡수를 억제시킴. 즉, VnP-16 펩타이드는 치주질환으로 소실된 치조골을 재생시켜 치주질환을 치료하고, 동시에 치조골 흡수를 억제시켜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신규 약물임
▶ (A)사람 치은(잇몸) 섬유모세포에서 염증매개체의 생성을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억제시킴. (B,C)사람 T 세포에서 CD4+/RANKL+, CD4+/IL17A+/RANKL+ 및 CD8+/RANKL+ T 세포 비율을 감소(B) 시켜 RANKL 및 IL-17A 생성을 감소(C) 시킴으로써 골흡수가 억제 되도록 면역반응을 조절함.
▶ VnP-16 펩타이드는 결찰에 의해 유도된 치주염 동물모델에서 치조골 흡수를 억제시키고, 소실된 치조골을 재생시켜 치주염 예방효과(A) 및 치료효과(B)를 보였음. VnP-16 펩타이드를 치주염 동물모델의 제1대구치 치주낭(흰쥐) 또는 잇몸(마우스)에 국소적으로 투여하였음. VnP-16 투여는 치조골 소실을 억제시켜 치주염 발생을 예방하고(A), 소실된 치조골을 재생시켜 치주염을 치료하였음.(B)D, 상아질; Ab, 치조골.
VnP-16은 비트로넥틴 유래 12-mer 펩타이드로, 면역거부반응 없이 골모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골흡수 능력을 억제하여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량 감소를 회복하는 기능성 펩타이드입니다.
– ㈜아이원바이오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효과적인 진단 솔루션을 제공(타액을 활용한 면역학적 검사기술)함으로써, 치과 진단의 패러다임을 예방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할 것임.
– Oral Rapid Test No.4 : 치과 및 환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고안한 다중 분석 Poct Test Kit.
*Pg (Porphyromonas gingivalis) : 고위험성 구강 병원균
*MMP-8 (Matrix metalloproteinases-8) : 콜라겐 분해
*S.P (Salivary Proteins) : 병원균에 대한 방어기질
*PH (Salivary Ph) : 산성화 및 저항성
*현재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 : 비스포스포네이트계열의 치료제는 골량 감소를 예방하나 이미 진행된 골소실을 회복시킬 수 없고, 턱뼈 괴사를 포함한 많은 부작용이 보고됨.
*프롤리아 (데노수맙, RANKL 억제제)은 제조단가가 비싸고, 골형성 효과가 없어 골소실을 지연시킬 뿐이며, 턱뼈 괴사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됨.
골형성 촉진과 골흡수 억제를 동시에 조절하여 감소된 골량을 회복시킴으로써 골다공증을 치료함.
또한 턱뼈 괴사와 같은 부작용이 없으며, 제조단가가 저렴함
▶ (A)사람 치은(잇몸) 섬유모세포에서 염증매개체의 생성을 감소시켜 염증반응을 억제시킴. (B,C)사람 T 세포에서 CD4+/RANKL+, CD4+/IL17A+/RANKL+ 및 CD8+/RANKL+ T 세포 비율을 감소(B) 시켜 RANKL 및 IL-17A 생성을 감소(C) 시킴으로써 골흡수가 억제 되도록 면역반응을 조절함.